이지드라이버(EasyDriver) 사용 방법 및 장점

윈도우를 새로 설치하는 경우나

컴퓨터를 사용하다 보면 드라이버 문제로 인해 하드웨어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이럴 때, 드라이버를 자동으로 검색하고 설치해주는 이지드라이버(EasyDriver) 프로그램이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asyDrv7 Win10_11 Win7 x64_x86 (v7.23.317.2)

한글버전이고 그냥 토렌트로 파일 다운 되면

실행만 시키면 자동으로 설치 진행해줍니다~~

 

EasyDrv7_Win10_11_Win7_x64_x86_(v7.23.317.2) KO-KR.torrent
0.04MB

반응형


HDMI TO DP 케이블을 연결했는데
화면이 안나왔나요?

케이블이 두가지 종류인데 맞지 않은 케이블을 사용해서 그럴확률이 높습니다


1. 패시브 방식 변환 아답터/케이블
패시브 방식 아답터는 말 그대로 두 단자의 플러그 모양과 배선만을 바꿔주는 아주 단순한 구조예요. 가격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죠. 하지만 DP++ (DisplayPort Dual-Mode)를 지원하는 출력 단자에만 잘 작동해요. 그러니까 모든 기기에서 완벽하게 호환된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또 하나, 패시브 방식 아답터는 DVI 싱글링크 모드까지만 변환이 가능해서 해상도와 대역폭에 제한이 있어요. 예를 들어, DP to DVI 변환 시에는 고해상도를 기대하기 힘들어요.

2. 액티브 방식 변환 아답터/케이블
액티브 방식 아답터는 좀 더 복잡한 친구예요. 내부에 별도의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서 패시브 방식보다 비싸요. 사실 단순한 아답터보다는 '영상 신호 컨버터'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하죠.

액티브 방식은 DP나 HDMI 플러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새로운 포맷으로 변환해요. 그래서 액티브 방식이라고 불리죠.

DP는 물리적으로 20핀을 사용하는 반면, 싱글링크 DVI는 19핀, 듀얼링크 DVI는 25핀을 사용해요. 그래서 듀얼링크 DVI 신호를 얻고자 할 때는 패시브 아답터로는 원하는 화면을 얻을 수 없어요. 반드시 액티브 방식 아답터를 사용해야 해요.



설명이 복잡하긴한데
간단히 말해서 액티브방식의 케이블이 호환성이 높습니다


일단 아래 쿠팡 링크 남기는데 꼭 여기 아니어도

검색창에

"HDMI TO DP 케이블 액티브" 로 검색해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https://link.coupang.com/a/bJLPml

 

리체비티 4K 하이퀄리티 액티브 DP to HDMI 2.0 케이블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나온 지포스 3080, 3070 제품 중에 드라이버가 안 잡힐 때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증상은 주로 윈도우에서 드라이버 설치를 마쳤는데도

 

계속 드라이버가 설치가 안되고 화면이 깜빡깜빡하는 증상입니다.

 

해결방법은 BIOS 상에서 설정 하나만 바꾸면 돼서 별로 어렵진 않습니다.

 

 

메인보드마다 약간씩 메뉴가 다른데요

 

일단 ASUS 모델로 보면 PCIE16_1 MODE 설정을

 

GEN3로 바꾸시면 됩니다.

 

 

다른 GIGABYTE나 MSI 메인보드 제품들도 대부분 VGA 설정 쪽에 보시면

 

GEN4, GEN3 ~AUTO 이런식으로 있을 텐데

 

요 설정을 GEN3 로만 바꾸시면 됩니다.

 

 

설정 바꾸시고 저장하고 윈도우 로딩하면 이상이 없을 겁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RTX 2060 시리즈 제품 장착시 불특정하게


장치관리자에서 “USB xhci 규격 호스트 컨트롤러” 부분이 느낌표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해당부분이 느낌표가 뜬다면

해당 그래픽카드 제조사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바이오스를 적용하시면 느낌표가 없어집니다.

 

 

갤럭시VGA

GALAXY Geforce RTX2060 Black D DDR6 6GB

GALAXY Geforce RTX2060 White D ex DDR6 6GB

http://www.galax.kr/bbs/board.php?bo_table=data&wr_id=44

 

이엠텍VGA

이엠텍 HV RTX 2060 STORM X Dual V2
https://www.emtekinc.co.kr/bbs/board.php?bo_table=download&wr_id=3964

 

기가바이트VGA

GIGABYTE 지포스 RTX 2060 UDV OC D6 6GB

https://www.gigabyte.com/Graphics-Card/GV-N2060OC-6GD-rev-20#support-dl-bios

 

 

위에 정리된 해당되는 모델이시라면 바로 링크 타고 들어가시면

바이오스 파일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반응형

PC종료후 키보드 버튼 눌리면 다시 켜질때가 있습니다.

 

윈도우10 사용중이시라면 아래의 내용을 적용해보세요

쉽게 해결 될수도 있습니다.

 

제어판 설정에 가면 "빠른시작켜기"라는 부분이 있는데요

 

해당설정메뉴 처음 들어가시면 비활성화 되어있어서 체크해제가 안됩니다.

일단 현재사용할수 없는 설정 변경을 먼저 누르시고

그다음에 "빠른시작켜기" 체크해제 하시면 됩니다.

 

이부분때문에 전원이 안꺼지거나 

키보드, 마우스 버튼만 눌리면 저절로 켜지기도 한다고합니다.

 

쉽게 적용 가능하니 해보시고

그때도 안되시면 하드웨어적인 부분을 점검하시면 되겠습니다~

 

Icons made by prettycons
from www.flaticon.com is licensed by CC 3.0 BY

반응형

USB Flash 타입 메모리 테스트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Check Flash 인데요

 

 다운로드는 아래 링크사이트에서 가능합니다.

https://www.softpedia.com/get/System/Boot-Manager-Disk/Check-Flash.shtml

 

 

일반 USB메모리도 되고 MicroSD 메모리도 테스트해보니 잘 됩니다.

일단 실행시키면 아래와 같이 나오는데요

 

 

크게 설정할 부분이 세군데 있는데 원하는대로 설정해서  Start! 누르시면 됩니다.

 

주의하실점은 Action type 항목에 Write and read test 인데요

체크후 테스트 시작시 포맷된다는 문구가 나오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이때는 자료가 지워질수 있으니 반드시 중요자료는 백업후 진행하세요~

 

 

테스트 시작하면 우측에 Drive map 항목에 색상이 계속 바뀌는데요

 

어떤내용인지 궁금하시면 Legend 탭 눌러보시면 각 색상이 어떤의미인지 나옵니다.

 

빨간색과 노란색으로 error 를 의미하니 안나오는게 좋겠죠?

 

 

 

테스트가 다 끝나면 Log 항목 탭에 상세내용이 나오는데요

에러항목 여부 확인이 가능합니다.

 

 

USB , MicroSD 메모리가 자꾸 오류나고 뻑날때 한번 테스트해보시고

불량이시면 a/s 보내시면 되겠습니다~

 

Icons made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is licensed by CC 3.0 BY

반응형

GTX1660, RTX2060 , 2070 등등

GTX 16시리즈와 RTX 20 시리즈 설치하시면서 윈도우7으로 쓰시려는 분이 계실껍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윈도우10을 쓰셔야 합니다.

 

윈도우7에 위 그래픽카드를 장착시 아래와 같이

장치관리자에 "PCI장치" , "Universal Serival Bus(USB)컨트롤러" 가 느낌표가 뜹니다.

위 느낌표는 드라이버 설치 등의 방법으로

절대 해결이 안되는 부분으로 그냥 무시하고 사용하시던지

윈도우10으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https://forums.geforce.com/default/topic/1104817/pci-device-usb-controller-after-1660-ti-install-/

왜 안되는건지??...관련내용으로 구글링 하다보니 지포스 포럼에 해당 내용이 있었는데 (위 링크 참조)

튜링GPU의 경우 USB TYPE C 포트가 설계상 들어가 있는데 이 부분이 윈도우7에서 지원이 안된다는 내용입니다.

기존 윈도우7 PC 에서 VGA만 업글하신 분들

새로 PC를 조립했지만 윈도우7을 쓰시는분들 (H310C , B365 칩셋 메인보드)

 

아쉽지만 이참에 윈도우10으로 옮기셔야 될꺼같습니다.

 

참고로, 윈도우10 초기버전은 해당 VGA드라이버설치가 안되니

꼭 윈도우10 최신 버전으로 설치하셔야 합니다.

 

Icons made by Freepik from www.flaticon.com CC 3.0 BY

반응형


GIGABYTE 바이오스 업데이트 (인텔8세대, 300시리즈 메인보드) 방법입니다.



가장 손쉬운 방법인 USB를 이용한 업데이트 방법입니다.

(업데이트 방법은 예전모델과 동일합니다)



준비물 : FAT32 포맷된 USB메모리 , 바이오스 롬 파일





BIOS 롬 파일은 


GIGABYTE 홈페이지에서 우상단 검색창란에 모델명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그 다음에 캡쳐 화면의 화살표와 같이


Support -> Downloads -> BIOS -> 롬파일 

다운로드 하시면 됩니다.


최상단에 있는 버전이 최신버전입니다.


H310M DS2V 모델은 F5 버전이네요


Asia, China, America, Europe 아무곳이나 속도 빠른곳에 다운 하시면 됩니다.





압축파일 다운로드 후 열어보시면


모델명.버전 으로 된 파일이 바이오스 롬 파일입니다.


위 파일을 압축해제해서 USB 에 복사해줍니다.





복사를 마쳤으면 BIOS에 들어갑니다.


부팅중 키보드에서 DEL키를 누르시면 됩니다. 또는 장착된 HDD, USB가 없으면 자동으로 진입됩니다.


위와같이 바이오스 첫 화면이 나오면 키보드 F8키를 눌러줍니다. 





F8키를 누르면 GIGABYTE 바이오스 업데이트 툴인 Q-FLASH가 실행됩니다.


여기서 Update BIOS 를 누릅니다.





Update BIOS 를 누르면 탐색기창이 뜨는데 


USB 에 복사해둔 바이오스 롬파일을 선택해줍니다.





롬파일 선택하면


Fast, Intact 선택이 나오는데


Intact 를 누릅니다.


이후 자동으로 업데이트가 진행이 되고 USB는 빼주셔도 됩니다.


BIOS 업데이트가 100% 완료되면 자동으로 리부팅이 되는데


2~3번 정도 꺼졌다 켜졌다를 반복합니다.


보통 부팅하는거보다 좀 시간이 걸리는데


전원은 절대 끄지 마시고 다시 부팅화면이 나올때까지 기다려주시면 됩니다.





업데이트가 완료되면 다시 BIOS에 들어가서 버전을 확인해줍니다.


BIOS 들어가셔서 F2 키를 누르시면 좌상단에 현재 BIOS 버전이 나옵니다.



이상끝~~




반응형

구라 제거기 - 키보드 보안 프로그램 삭제 유틸

 

온라인뱅킹이나 관광서 등 사이트를 이용하고 나면

각종 보안 프로그램이 자동으로 설치되어 PC를 엉망으로 만듭니다.

 

마침 블루앤라이브라는 아주 고마운 개발자분이

"구라제거기" 라는 무료 유틸을 만들어서 제공중입니다.

 

일종의 최적화 프로그램인데...

실행한방으로 설치된 모든 보안프로그램의 언인스톨을 실행해줍니다.

 

 

 

일단 프로그램 실행하면 현재 설치된 보안프로그램 목록이 쭈욱~ 나오구요

 

 

 

모두제거를 누르면 언인스톨 몽땅 실행해줍니다.

 

그다음에 할일은 Y 만 계속 누르시면 됩니다.

 

 

 

 

다 제거후 모습입니다. 깔끔하죠~ㅋ

 

보안프로그램 삭제후에

 

부팅후 버벅이는 증상도 없어지고

인터넷서핑도 쾌적해 지네요

 

 

프로그램은 개발자분 사이트 링크에서 다운받으세요~~

 

http://teus.me/464?category=402265

 

 

 

 

 

반응형



게인워드라는 그래픽을 아시는분도 계실꺼고 모르시는분도 계실껍니다


아마도 PC부품 관심있으시면 


이엠텍정도는 아실꺼라 보는데...


이엠텍 VGA XENON 모델이 게인워드 제품입니다.




요 제품이


이엠텍에서는 XENON 으로


디앤디컴에서는 GAINWARD 로 팔립니다.



GAINWARD 지포스 GTX1060 게이머 스피릿 Dual D5 3GB 디앤디컴


이엠텍 XENON 지포스 GTX1060 STORM X Dual D5 3GB



위에 다나와 모델명에 링크를 걸어뒀는데 


상품정보 봐보시면 완전 같은제품임을 알수 있을겁니다~ㅎ


보통은 제품이름은 같고 유통사만 다른데..


이엠텍은 제품이름을 아예 따로 쓰네요


뭐 혹시나 위 제품을 사시려는 분은 동일한제품이니 


아무 유통사나 저렴한걸로 구매하시면 될듯ㅋ




원래 포스팅하려는 내용으로 돌아오면...


GAINWARD 제품이 시리얼을 알아보기가 어렵더라구요


대신 시리얼 체계를 알면 쉽습니다.ㅋ



앞에 4자리만 보시면 되는데요


위 사진을 예시로 들어보면 TD16 만 보시면 됩니다.


T = 그래픽카드


D = December 12월 (숫자 1~9는 해당 월 , O -10월 , N-11월, D-12월)


16 = 16년도


요렇게 됩니다.


연/월 순으로 기억하시면 됩니다.


참 쉽죠?



별의미 없어보이지만 추후 A/S 받을때


구매영수증이 없다면 저 시리얼 기준으로 서비스기간이 산정되기때문에


알아두시는게 도움이 됩니다~



다음에 또 도움이 되는내용으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