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MI TO DP 케이블을 연결했는데
화면이 안나왔나요?

케이블이 두가지 종류인데 맞지 않은 케이블을 사용해서 그럴확률이 높습니다


1. 패시브 방식 변환 아답터/케이블
패시브 방식 아답터는 말 그대로 두 단자의 플러그 모양과 배선만을 바꿔주는 아주 단순한 구조예요. 가격도 저렴하고,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죠. 하지만 DP++ (DisplayPort Dual-Mode)를 지원하는 출력 단자에만 잘 작동해요. 그러니까 모든 기기에서 완벽하게 호환된다고 보기는 어려워요.

또 하나, 패시브 방식 아답터는 DVI 싱글링크 모드까지만 변환이 가능해서 해상도와 대역폭에 제한이 있어요. 예를 들어, DP to DVI 변환 시에는 고해상도를 기대하기 힘들어요.

2. 액티브 방식 변환 아답터/케이블
액티브 방식 아답터는 좀 더 복잡한 친구예요. 내부에 별도의 영상 신호 변환 회로가 내장되어 있어서 패시브 방식보다 비싸요. 사실 단순한 아답터보다는 '영상 신호 컨버터'라고 보는 게 더 정확하죠.

액티브 방식은 DP나 HDMI 플러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입력된 영상 신호를 분석하고, 새로운 포맷으로 변환해요. 그래서 액티브 방식이라고 불리죠.

DP는 물리적으로 20핀을 사용하는 반면, 싱글링크 DVI는 19핀, 듀얼링크 DVI는 25핀을 사용해요. 그래서 듀얼링크 DVI 신호를 얻고자 할 때는 패시브 아답터로는 원하는 화면을 얻을 수 없어요. 반드시 액티브 방식 아답터를 사용해야 해요.



설명이 복잡하긴한데
간단히 말해서 액티브방식의 케이블이 호환성이 높습니다


일단 아래 쿠팡 링크 남기는데 꼭 여기 아니어도

검색창에

"HDMI TO DP 케이블 액티브" 로 검색해서 구매하시면 됩니다.



https://link.coupang.com/a/bJLPml

 

리체비티 4K 하이퀄리티 액티브 DP to HDMI 2.0 케이블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반응형

최근에 나온 지포스 3080, 3070 제품 중에 드라이버가 안 잡힐 때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증상은 주로 윈도우에서 드라이버 설치를 마쳤는데도

 

계속 드라이버가 설치가 안되고 화면이 깜빡깜빡하는 증상입니다.

 

해결방법은 BIOS 상에서 설정 하나만 바꾸면 돼서 별로 어렵진 않습니다.

 

 

메인보드마다 약간씩 메뉴가 다른데요

 

일단 ASUS 모델로 보면 PCIE16_1 MODE 설정을

 

GEN3로 바꾸시면 됩니다.

 

 

다른 GIGABYTE나 MSI 메인보드 제품들도 대부분 VGA 설정 쪽에 보시면

 

GEN4, GEN3 ~AUTO 이런식으로 있을 텐데

 

요 설정을 GEN3 로만 바꾸시면 됩니다.

 

 

설정 바꾸시고 저장하고 윈도우 로딩하면 이상이 없을 겁니다.

 

 

 

“파트너스 활동을 통해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음"

반응형

RTX 2060 시리즈 제품 장착시 불특정하게


장치관리자에서 “USB xhci 규격 호스트 컨트롤러” 부분이 느낌표가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위와 같이 해당부분이 느낌표가 뜬다면

해당 그래픽카드 제조사 홈페이지를 방문해서

바이오스를 적용하시면 느낌표가 없어집니다.

 

 

갤럭시VGA

GALAXY Geforce RTX2060 Black D DDR6 6GB

GALAXY Geforce RTX2060 White D ex DDR6 6GB

http://www.galax.kr/bbs/board.php?bo_table=data&wr_id=44

 

이엠텍VGA

이엠텍 HV RTX 2060 STORM X Dual V2
https://www.emtekinc.co.kr/bbs/board.php?bo_table=download&wr_id=3964

 

기가바이트VGA

GIGABYTE 지포스 RTX 2060 UDV OC D6 6GB

https://www.gigabyte.com/Graphics-Card/GV-N2060OC-6GD-rev-20#support-dl-bios

 

 

위에 정리된 해당되는 모델이시라면 바로 링크 타고 들어가시면

바이오스 파일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